본문 바로가기
Logistics

물류 용어 정리

by SuldenLion 2025. 3. 20.
반응형
  • 3PL (3rd Party Logistics)
    화주를 대신하여 가장 효율적인 물류 전략의 기획 입안 및 물류 시스템의 구축에 대해 포괄적으로 위탁하여 수행
    *화주 = 화물의 주인

  • A/N (Arrival Notice)
    화물 도착 통지

  • ASP (Application Service Provider)
   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고 이미 구축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
    용도에 맞게 종량제로 임대료를 지불받음

  • AWB (Air Way Bill)
    항공 운송장

  • B/L (Bill Of Lading)
    선하증권을 말하며 운송인과 화주 사이의 운송 계약에 따라 화물을 받아 선적한 것을 증명하는 서류 (화물 수취증)
    운송 계약서로 화물 인도시 교환권이 됨
    (수출 쪽 수표같은 개념?)

  • B2B (Business to Business)
    기업 간에 이루어지는 전자상거래를 의미

  • B2C (Business to Consumer)
    최종 소비자에게 물건이나 서비스를 전달하는 사업을 의미

  • BI (Business Intelligence)
    경영 및 업무상 관리할 지표(핵심성과지표=KPI)를 가시화하는 시스템

  • CLP (Container Load Plan)
    컨테이너에 적재된 화물의 명세를 기재한 서류

  • CSV (Comma-Separated Values) 데이터
    쉼표로 구분된 데이터

  • DC (Distribution Center)
    정상적인 보관 창고로, 운송 및 배송을 위한 창고

  • ERP (Enterprise Resources Planning)
    통합 기간 시스템

  • KPI (Key Performance Indicator)
    핵심성과지표

  • L/C (Letter of Credit)
    신용장
    수입자의 거래 은행이 발행하는 것으로, 수입자 대신 상품 대금의 지불을 은행이 보증함

  • L/G (Letter of Guarantee)
    화물 선취 보증서
    손해가 발생한 경우 한쪽이 보장한다는 취지를 기재한 각서

  • Min-Max법
    설정한 최소 재고값을 밑돌면 설정한 최대값까지 발주·보충하는 발주 방식

  • MOQ (Minimum Order Quantity)
    (1회 발주시) 최소 주문 수량

  • PSI
    생산·판매·재고 계획
    Purchase/Production(구매 혹은 생산), Sales(판매), Inventory(재고)

  • QCD (Quality, Cost, Delivery)
    품질, 비용, 납기
    업무를 평가해야 할 항목

  •  RFID (Radio Frequency Identifier)
    ID 정보 및 전자 데이터를 매립한 전자 태그(꼬리표)를 의미
    IC 태그라고도 함

  • RoHS 규제 
    전기·전자기기에 포함되는 특정 유해물질의 사용 제한에 관한 유럽 의회 및 이사회 지령

  • RoRo(Roll on Roll off)선
    트럭 자체를 실어 나르는 화물 전용선

  • RPA (Robotic Process Automation)
    컴퓨터상의 데이터 처리를 프로그램화 된 로봇으로 자동화하는 것

  • S&OP (Sales & Operations Plan)
    판매 운영 계획

  • SCP (Supply Chain Planner)
    공급망 관리에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의미
     
  • SPQ (Standard Packing Quantity)
    최소 포장 단위 (표준 포장 단위)

  • TC (Transfer Center)
    보관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통과형 창고

  • TC I 형
    짐을 정렬하여 출하 타이밍을 맞춰 출하하는 통과형 창고

  • TC II
    검품, 검침, 가격표 붙이기, 어소트 같은 가벼운 작업의 유통가공을 하는 통과형 창고

  • VMI (Vendor Managed Inventory)
    벤더 = 공급업자가 관리하는 재고

  • 공장 내 물류
    공장 내 물품의 보관, 반송 등의 물류 기능

  • 프레이터 (Freighter)
    화물 수송기

  • 가동률
    트럭 등 차량의 가동 여부를 나타내는 지표

  • 간트 차트 (Gantt chart)
    가동 상황을 나타내는 도표

  • 검품
    입하된 화물이 입고 수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것

  • 고객 충당용 출고 정지 재고
    이미 특정 고객을 대상으로 충당되었지만 출고·출하 시기가 아니어서 출고가 정지된 재고

  • 공급망 관리
    물품의 흐름을 관리하는 업무

  • 공급자
    = 공급업체

  • 공동배송
    여러 화주가 공동으로 배송하는 것

  • 공장 인도 (Ex-Works)
    공장 출하 시점에서 짐을 넘기는 거래 형태로 매수인이 인수하러 가는 것

  • 구분
    짐을 필요에 따라 분류하는 것
    주로 출하처(납품처)별이나 트럭의 수배송 방면별로 분류

  • 구차
    짐을 운반할 트럭을 찾는 것

  • 구화
    화물이 없는 빈 트럭으로 운반할 짐을 찾는 것

  • 그룹핑
    발주 및 보충
    생산 지시 단위를 통합하는 것
    소량 생산이나 구매는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일정 수량 단위로 그룹화하는 것

  • 기준 재고
    유지해야 할 기준 재고 수량

  • 납품 수령서
    납입처에 짐을 배달했을 때 납품받았다는 것을 영수하는 서류

  • 납품서
    납품물의 명세를 기록한 서면

  • 낱개 제품
    일괄 관리되는 재고가 아닌 1개, 2개 등 소액 단위로 관리되는 품목

  • 내용물 중량 관리
    용기 등에 들어 있는 원료 등이 표시된 것과 실제 내용량이 상이한 경우 실제 용량을 파악해야 함
    (e.g. 10kg라고 표기 되어 있어도 실제 11kg라면 내용물 중량은 11kg)

  • 노선편
    자사 터미널 간을 하주가 다른 짐을 적재하면서 정해진 루트(=노선)를 수송하는 물류업자의 트럭편

  • 단품 관리
    재고로 보관
    진열된 물품을 1품목씩 파악하고 관리하는 것

  • 대체
    일괄로 관리되는 재고를 낱개 품목 등으로 소분하여 보관 형태를 대체하는 것

  • 더블 빈 방식
    용기를 2개 준비하고 한 용기에 들어있는 재고가 없어지면 같은 용기 1개 분량을 발주·보충하는 발주 방식

  • 드론 숍
    EC 사이트 개설자·기업은 재고를 갖지 않고 주문만 받으면 출하, 배송, 결제를 맡아주는 비즈니스 모델
    * EC 사이트 (Electronic commercial) : 전자상거래

  • 디배닝
    컨테이너에서 짐을 내리는 것

  • 디커플링 포인트
    수주 분계점을 말하며, 재고로서 주문을 받는 업무상 포인트
    * 수주 분계점 (Sales order cut-off point) : 특정 날이나 시간으로 수주를 처리하는 기준점

  • 라스트 원 마일
    배송업자의 거점에서 가정집과 같은 최종 소비자인 납입처까지의 배송 루트

  • 로케이션 관리
    보관 시의 로케이션(=장소)을 정의하고 제품을 관리함으로써 선반이나 바닥 보관장에 이름과 번호를 매겨 재고의 보관 관리를 실시하는 업무 방식

  • 로트 번호
    보관하는 물품의 생산 날짜와 시간을 확인하기 위해 지정되는 번호

  • 로트 역전
    먼저 출하한 로트 번호보다 오래된 로트 번호가 출하되는 것

  • 리드 타임 (L/T)
    조달과 보충을 하는데 필요한 시간

  • 리턴편
    수배송을 마치고 돌아오는 차량

  • 마스터
   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처리할 때 참조하는 데이터

  • 멀티 피킹
    여러 출고 전표(=출하처)를 동시에 피킹하고 그대로 출고 전표(=출하처)별 접이식 리턴 박스에 투입(=파종 방식)하는 방법


  • 점포가 출점한 상업시설 (e.g. 아마존, 덴올몰)

  • 무역 시스템
    무역 업무를 지원하는 시스템

  • 물류 ABC
    ABC는 Activity Based Costing의 약자로 활동 기준 원가 계산으로 번역됨
    원가를 계산할 때 작업 및 수송 등의 활동 단위당 금액을 계산함

  • 물류 트래킹
    수배송 실적을 추적하는 것

  • 밀크런
    여러 목장에서 착유된 우유를 수집하러 다니는 집하 업무를 밀크런으로 부르는 데서 유래
    여러 거점을 돌며 물품을 픽업하는 것으로 확장하여 사용하게 됨
    조달 물류의 한 형태

  • 발주 계산
    필요한 주문 수량을 계산
    외부에 발주하지 않고 자사 내에서 보충하는 경우는 보충 계산이라고 함

  • 발주점 방식
    일정한 재고를 밑돌면 정해진 양을 발주·보충하는 발주 방식

  • 배닝
    컨테이너에 싣는 것

  • 배송
    한 지점에서 여러 지점에 각각 배달해야 할 짐을 운반하는 것

  • 배차 계획
    트럭을 수배하는 계획

  • 보관
    창고에 짐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

  • 보충 계산
    창고 등에 재고 보충이 필요한 경우 보충 수량을 계산하는 것

  • 부킹
    예약을 하는 것

  • 사용 가능 재고
    검사 대기 영업 확보 등 출고 정지 상태가 아닌 충당 가능한 상태의 재고를 의미

  • 삭제 지시
    잔량이 실행되고 남은 상태를 삭제하는 것

  • 선입선출
    입고된 지 오래된 것부터 순서대로 출고하는 방식
    First In First Out(FIFO)

  • 센터 수수료
    센터 창고에 보관된 화물의 선적 및 매출과 동시에 기본 계산 비율로 계산한 물류 서비스 요금
    * 선적 : 배에 짐을 싣는 것

  • 센터 창고
    여러 창고에 배송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창고

  • 송장
    물류업자에게 수배송을 요청하는 서면
    *서면 : 종이로 된 문서

  • 수배송 관리 시스템 (TMS: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)
    수배송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시스템
    주로 배차 계획, 운영 관리 업무를 지원함

  • 수송 모드
    수송 방법 (선박, 항공기, 철도, 트럭 등을 가리킴)

  • 수송
    어느 지점에서 어느 지점까지 배달해야 할 짐을 나르는 것

  • 수주 잔량
    주문했는데 아직 배송되지 않은 상황으로 주문 후 출하 처리 및 매출 처리 실행 대기를 나타냄
    * 수주 : 주문을 받는 것

  • 시리얼 넘버
    대형 기기 등을 1대씩 고유 관리할 수 있도록 제조 순서대로 할당하는 번호

  • 신규 투입품 
    실무에서 사용하지 않은 제품

  • 실차율
    실제로 적재한 비율

  • 싱글 피킹
    출고 지시 전표 1장별로 피킹 지시하는 방법

  • 아웃바운드
    수출에 따른 물류 또는 창고 출하에 따른 물류
    자원이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하는 프로세

  • 아이들 리소스 (Idle resource)
    비어있는 자원(차량이나 사람 등)

  • 안전 재고
    예측이 빗나갔을 때 빗나간 분량만큼 충당이 불가능하거나 결품이 일어나지 않도록 유지하는 안전 여유분의 재고

  • 에그리게이터 (Aggregator)
    정보수집업자
    국제 운송을 중심으로 출하에서 납입처에 입하(착하)까지 모든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통합적인 물류 업체

  • 역가
    화학품 등의 유효 성분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
    같은 1리터라도 역가가 1%와 2%는 두배나 유효 성분이 다르기 때문에 1리터라는 총량이 아니라 유효 성분을 관리함

  • 역물류
    사용한 제품을 회수하여 수송하는 물류

  • 영업 확보 재고
    영업 부문이 고객에게 판매를 보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충당·출하되지 않도록 나누어 놓는 재고

  • 옴니
    채널 마케팅 개념으로 모든 고객 접점을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활동

  • 용차
    다른 업체의 차량을 임시로 빌려 수배송 업무를 하는 것

  • 운행효율
    트럭의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. 
    가동률 실차율, 적재율을 곱해서 구함.

  • 원산지 관리
    원자재 등이 어느 나라에서 생산됐는지를 파악하는 것

  • 유통가공
    제품화 후 유통 과정에서 가공 등의 제조를 하는 작업
    가격표 부착 등 간단한 작업부터 부품 조립 등 고도의 작업이 포함되기도 함

  • 유효기간 관리
    원료 및 제품의 사용 기한을 관리함

  • 이고 
    창고 간 이동

  • 인바운드
    수입에 따른 물류 또는 창고 입하에 따른 물류

  • 인보이스
    납품서, 송장을 말하며 화물 발송·납품 명세서, 청구서 등의 역할도 하는 서류

  • 인코텀스 (Incoterms; International Commercial Terms)
    국제상업회의소가 수출입 거래에 대해 일상적인 거래 조건을 정한 것.
    특히 당사자 간의 비용과 위험의 적용 범위를 정하고 있음

  • 입고 예정
    창고 입고 예정 정보
    입하·입고 시 그 화물이 올바른지 확인하기 위해 창고에 정보를 전달

  • 입고
    창고에 짐을 받아 보관하는 것

  • 입하
    짐이 창고에 도착하는 것

  • 장부 대조
    특정 도매업자를 사입처로 결정하는 거래로, 거래를 집약시키는 기능을 말함

  • 재고조사
    보관된 재고의 정확한 수치를 파악하는 것

  • JIT (Just In Time)
    필요한 시기에 필요한 물건을 배달하는 업무 구조

  • 적재 계산
    트럭 컨테이너에 빈틈없이 가장 효율적으로 적재하기 위한 계산

  • 적재율
    적재량에 실제로 쌓여 있던 양의 비율

  • 전세편
    특정 화주로부터 화물을 받아 환적없이 납품처까지 배달하는 트럭편
    * 환적 : 운송 수단간에 화물을 옮겨 싣는 것

  • 점포별 피킹
    출하하는 품목을 납입처 상점별로 피킹하는 것

  • 정물류
    미사용 물품을 수배송하는 물류

  • 제조 실행 시스템 (MES: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)
    공장의 공정 관리(제조 관리)를 수행하는 시스템으로 제조 지시, 실적 수취를 수행함

  • 조닝
    창고 내에 어느 특정 영역을 설정하는 것

  • 조달물류
    화물을 조달할 때 발생하는 물류

  • 중개인
   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에서 제품을 유통시키는 업자

  • 짐갖추기
    납품처를 향해 짐을 집약하는 것

  • 짐짜기
    짐칸을 복잡한 도형으로 도려내서 최대한 쓸데없는 부분을 없애도록 계산하는 것

  • 차량 편성
    트럭을 방면별로 계획·준비하는 것

  • 창고 관리 시스템 (WMS: Warehouse Management System) 
    창고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시스템
    주로 입출고 업무 및 보관 업무를 지원함

  • 총량 할당
    로트 번호 지정 등의 상세 충당을 하지 않고 재고 총량에 대해 충당금을 할당하는 것

  • 출하 지시 잔량
    출하지시가 이루어졌는데 아직 배송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으로 지시 실행 대기를 나타냄

  • 충당(할당)
    출고·출하 지시를 할 때 현물 재고에 대해 출고·출하 가능한 재고를 파악하고 확보하는 것
    실제로 물건을 이동시킬 뿐 아니라 논리적으로 확보해서 다른 출고·출하 지시를 차단함

  • 크로스 도킹
    다거점에서 출하·입하된 짐을 같은 타이밍에 입고, 정렬, 출하할 수 있도록 타이밍을 맞추는 것

  • 타코미터
    회전계 또는 회전속도계
    운행 관리용 기록계(운행 기록용 기기)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음

  • 태리프
    수배송 요금표

  • 토털 피킹
    여러 출하 지시 전표를 통합해서 총합을 피킹 지시하는 방법

  • 트레이서빌리티 (Traceability)
    문제가 발생했을 떄 수배송, 보관, 생산 원료까지 거슬러 올라가 원인을 파악하고, 원인을 특정했을 때는 문제의 영향 범위를 추적하는 것

  • 트리플 빈 법
    더블 빈 법의 응용으로 3개의 용기를 사용해서 재고를 보충하는 방법

  • 판매 물류
    물건을 고객에게 판매할 때 발생되는 물류

  • 패킹 리스트
    포장 명세서로, 발송하는 화물 내용을 영문으로 설명하는 서류

  • 페리
    여객편 화물실

  • 포워더
    화물 이용 운송 사업자
    주로 국제 수송 사업을 담당함

  • 피킹 리스트
    출고 지시를 위해 출고 순서와 품목 등을 기입한 일람표

  • 피킹
    창고 내 화물이 보관되어 있는 장소에서 짐을 꺼내는 것

  • 하역
    짐을 운반하는 일을 가리키는 점에서 창고 업무 중에서 입하, 입출고, 창고 내 반송 등의 작업을 가리킴

  • 하주
    화물의 소유자
    보관 및 수배송을 지시하는 주체

  • 핸디 터미널
    입고 및 출고 시에 짐을 지정하고 개수를 헤아리고 지시 실행 등록 등을 수행하기 위한 소형 기기

  • 허브
    허브 앤드 스포크(Hub and spokes)의 비유에서 물류가 집약되는 거점을 가리킴

  • 현품 관리
    물품을 관리하는 것

  • 화물 수취증 (Dock receipt)
    선박회사가 지정하는 보세 구역에 반입된 화물에 대하여 수취증으로 발행하는 서류

  • 후입선출
    새로 입고된 것부터 출고하는 방식
    Last In First Out 방식

 

 

반응형

'Logisti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공급망 관리(Supply Chain Management) 개념 정리  (1) 2025.04.01
경영혁신과 ERP 개념 정리  (0) 2025.03.23

댓글